목차
추석 명절은 예로부터 조상님들께 예의를 차리고 정성스러운 음식을 올리는 행사로, 남은 올해 그리고 내년까지도 일이 잘 풀리도록 보살펴 주시기를 기원하는 자리 입니다. 그런 자리인만큼 차례상을 차리는 방법과 음식 놓는 방법등이 매우 중요합니다. 집안의 가풍에 따라 엄격하게 차례상을 차리고 음식의 가지수도 수십가지를 준비하는 곳이 있는가 하면 시대의 흐름에 맞춰 간소하게 준비하는 집도 많습니다.
이때, 가장 중요한것은 음식의 수가 많냐 혹은 적냐가 아니라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 음식과 절대 넣으면 안 되는 음식입니다. 이번 글을 통하여 추석 차례상의 기본 구성과 주의점을 빠르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더불어 추석 명절 지원금 및 위로금도 안내해드리니 잊지 말고 신청하셔서 손해보지 마시기 바랍니다.
추석 지원금 및 위로금
정부는 물가상승으로 인한 소비축소와 가계부담을 덜기 위해 추석 지원금 및 위로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각 지자체에서 지원해드리는 추석 지원금 및 위로금을 신청하셔서 못 받는 일이 없으시길 바랍니다.
간소화 차례상
불필요한 절차와 보여주기식 차례문화를 최소화 하기 위해 국립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는 최근 차례상의 간소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의례정립위원회에서 추진하는 간소화 차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예의를 갖추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차례상을 보여주는 좋은 예시 입니다. 참고하시어 이번 차례상은 간소하게 차려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추석 차례상
기본적인 추석 차례쌍은 총 5열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1열 부터 5열 까지 구성을 아래 그림과 글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1열의 구성
1열의 구성은 국수, 술잔 및 떡국을 놓습니다.
* 시접, 잔반(술잔, 받침대)을 놓고 떡국을 올림
2열의 구성
2열은 육전과 육적 등의 전을 놓는 자리 입니다.
* 어동육서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 두동미서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3열의 구성
3열의 탕을 놓는 자리로 육탕, 어탕등을 놓습니다.
* 생선, 두부, 고기탕 등의 탕류를 놓음
4열의 구성
4열은 나물과 포 등을 놓는 자리 입니다.
* 좌포우혜(좌측 끝에는 포, 우측 끝에는 식혜)
5열의 구성
5열은 대추와 밤 등 과일을 놓는 자리 입니다.
* 조율이시(왼쪽부터 대추, 밤, 배, 곶감 순서임)
* 홍동백서(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
차례상 차리는법 다운로드
차례상 차리는 방법을 쉽게 볼 수 있도록 파일로 제공해드리고 있습니다. hwp로 작성 되어 한글 프로그램으로 보실 수 있고 한글 프로그램이 없으신분은 아래 pdf파일을 받으시면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도 보실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차례상 준비 시 유의할 점은 복숭아와 삼치, 갈치, 꽁치 등 끝에 '치'자가 든 것은 쓰지 않아야 합니다. 참고로 복숭아를 안 쓰는 이유는 예로 부터 복숭아는 요사스런 기운을 몰아내고 귀신을 쫓는 힘이 있다고 전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고추가루와 마늘 양념을 사용하지 않아야 하고 붉은 팥 대신 흰 고물을 씁니다.